덕성우, 주가 강세…투자경고종목 해제

김민정 기자

2023-08-21 05:42:38

덕성우, 주가 강세…투자경고종목 해제
[빅데이터뉴스 김민정 기자] 덕성우 주가가 시간외 매매에서 급등했다.

21일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지난 18일 시간외 매매에서 덕성우 주가는 종가보다 1.74% 오른 7030원에 거래를 마쳤다. 덕성우의 시간외 거래량은 1만1177주이다.

이는 덕성우가 투자경고종목에서 해제됐기 때문으로 풀이된다.

21일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지난 18일 장 마감 후 거래소는 덕성우에 대해 "다음 종목은 투자경고종목에서 해제되어 21일(1일간) 투자주의종목으로 지정되고, 해제 이후 추가 상승시 투자경고종목으로 재지정되니 투자에 주의하시기 바란다"고 공시했다.
덕성우의 투자경고종목 해제 사유는 투자경고종목 지정일(2023년 8월 4일)부터 계산해 10일째(해제요건 미 충족시 연장됨)이후 날인 2023년 8월 18일(T)의 종가가 ▲5일 전날(T-5)의 종가보다 60%이상 상승하지 않고 ▲15일 전날(T-15)의 종가보다 100%이상 상승하지 않고 ▲판단일(T)의 종가가 최근 15일 종가중 최고가가 아니기 때문이다.

덕성우는 21일을 기준으로 10일째 되는 날 이내의 특정한 날에 ▲종가가 투자경고종목 지정 전일(8월 3일) 종가보다 높고 ▲종가가 투자경고종목 해제 전일(8월 18일) 종가보다 높으며 ▲종가가 2일 전일(T-2) 종가보다 40% 이상 상승하는 경우 투자경고종목으로 재지정된다.

한편 덕성우 주가는 최근 급등락을 거듭했다. 최근 국내 연구진이 상온·상압 초전도체를 개발했다는 소식에 덕성우가 관련주로 묶였기 때문이다.

국제학술지 네이처가 국내 연구진이 상온·상압 초전도체를 개발했다고 주장한 물질 'LK-99'가 초전도체가 아니라는 기사를 또다시 보도했다. 불순물인 황화구리 등이 초전도체처럼 보이는 특성을 띤다는 해외 연구진의 근거를 들었다.

16일(현지시간) 네이처는 "과학자들이 LK-99의 수수께끼를 풀어낸 것 같다"며 "물질이 초전도체가 아니라는 증거를 발굴하고 실제 특성을 명확히 밝혀냈다"고 보도했다. 네이처는 지난 4일 LK-99에 관해 학계의 회의적인 반응을 보도한 바 있다.

네이처는 그동안 해외 각국 연구진이 LK-99를 검증한 결과를 들었는데 "황화구리 등이 전기 저항의 급격한 감소와 자석 위에서의 부분 부상이 나타난 원인"이었다며 이는 초전도체가 나타내는 특성과 유사해 보인 것이라고 설명했다.

현재 중국, 인도, 미국, 영국 등 해외 연구진이 LK-99가 초전도체인지 살폈으나 대부분 회의적인 반응을 보이고 있다. 특히 지난 14일 독일 막스플랑크 고체연구소는 순수한 단결정 LK-99를 합성한 결과 LK-99는 초전도체가 아니라 수백만 옴의 저항을 가진 절연체라고 결론 냈다.

투명한 자주색을 띠는 순수 LK-99 결정을 만든 이 연구팀은 초전도성이 나타난 이유가 결정에서 존재하지 않는 불순물인 황하구리에서 온 것 같다고 설명했다. 이어 "불순물과 분리된 LK-99는 초전도체가 아니라 표준 전도도 테스트를 실행하기에는 너무 높은 수백만 옴의 저항을 지녔으며 "작은 강자성과 반자성을 보여주지만 부분 부상으로도 충분하지 않다"고 주장했다.

응축물질 실험자인 이나 비쉬크 미 캘리포니아주립대 데이비스 조교수는 이러한 학계 반응을 두고 "이 시점에서 상황이 꽤 결정적으로 해결됐다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다만 추가 확인이 필요하다는 학자도 있다. 물리학자인 마이클 퍼러 호주 멜버른모나쉬대 교수는 "샘플을 공유하는 한국 연구팀에서 추가 확인을 진행할 수 있다"며 "다른 모든 사람을 설득해야 하는 부담은 그들에게 있다"고 강조했다.

하지만 네이처는 이석배 퀀텀에너지연구소 대표 등 연구팀에 논평 등을 요구했으나 응답하지 않았다고 전했다.

한편 네이처는 LK-99 이슈의 경우 과학계가 비교적 빠르게 결론에 도달한 '비정상적인' 사례라고 말했다. 특정 과학 이슈가 주목받았지만 LK-99처럼 재현은 커녕 천천히 잊힌 경우가 많다는 것이다.

또 잊히지 않더라도 결론에 도달하는 경우는 극히 드물다는 계 학계 반응이다. 네이처에 따르면 1986년 산화구리 초전도체 발견과 관련해 지금도 연구자들이 특성 조사에 나서고 있고 논쟁도 이어지고 있다.

김민정 기자 thebigdata@kakao.com
[알림] 본 기사는 투자판단의 참고용이며, 제공된 정보에 의한 투자결과에 대한 법적인 책임을 지지 않습니다.
<저작권자 © 빅데이터뉴스,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