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2일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전일 시간외 매매에서 에코프로 주가는 종가보다 2.3% 오른 120만2000원에 거래를 마쳤다. 에코프로의 시간외 거래량은 2만3653주이다.
이는 미국 정부의 중국산 전기차 부품 압류가 증가하면서 에코프로 등 국내 2차전지 관련주에 수혜 기대감이 커지는 것으로 풀이된다.
미국 정부가 중국 신장(新疆) 지역의 강제노동 관련 수입 제품 검사를 전기차 배터리 등 자동차 부품으로 확대했다.
지난 2월 이후 '위구르 강제노동 금지법(UFLPA)'에 따라 31개의 자동차·항공우주 제품이 압류됐으며, 알루미늄과 강철 등에 대한 압류액은 작년 말 월 100만달러(약 13억4천만원)에서 최근 1천500만달러(약 200억원) 이상으로 증가했다.
그간 미국은 UFLPA에 따라 태양광 패널, 토마토, 면화 의류 제품에 대한 수입을 주로 제재해왔는데 이제 그 범위가 넓어지는 분위기다.
UFLPA는 강제노동의 산물로 의심되는 신장 지역 제품의 수입을 금지하는 것이 골자다.
이 법에 따라 신장 지역에서 만들어진 제품은 강제노동으로 생산되지 않았다는 점을 증명하거나 블랙리스트에 오르지 않았을 경우에만 미국 수입이 가능하다.
로이터통신에 따르면 CBP는 지난 4월과 6월 사이에 전기차 배터리, 타이어, 알루미늄 등을 관련 목록에 추가했다.
CBP는 지난달 의회 보고서에서도 "리튬이온 배터리 등 자동차 부품이 모니터링 대상인 '잠재적 위험 영역'에 포함됐다"고 밝혔다.
미국 당국이 자동차 부품 수입에 대한 감시를 강화한 데는 지난해 12월 공개된 영국 셰필드 할람대의 연구가 중요한 계기가 된 것으로 알려졌다.
해당 연구는 주요 자동차 업체 거의 모두가 신장 지역 강제 노동 생산 제품에 노출됐다고 지적했다.
이 연구가 나온 후 론 와이든 미국 상원 금융위원장은 관련 조사를 개시했다.
와이든 위원장은 "CBP가 해당 분야의 수입을 조사하는 것은 적절하다"고 밝혔다.
미국 당국의 이번 조치는 자동차 업계에는 상당한 부담이 될 전망이다.
자동차 제조업체에 강제 노동 이슈의 잠재적 위험도에 대해 조언하고 있는 밀러&슈발리에의 댄 솔로몬 변호사는 "공급망이 매우 복잡하다"며 "이번 압류는 자동차 업체에 엄청난 지장을 줄 것"이라고 말했다.
김민정 기자 thebigdata@kakao.com
[알림] 본 기사는 투자판단의 참고용이며, 제공된 정보에 의한 투자결과에 대한 법적인 책임을 지지 않습니다.
<저작권자 © 빅데이터뉴스,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