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일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지난달 29일 시간외 매매에서 삼천당제약 주가는 종가보다 3.27% 오른 14만5200원에 거래를 마쳤다. 삼천당제약의 시간외 거래량은 13만8650주이다.
이는 삼천당제약이 황반변성치료제 바이오시밀러 제품의 유럽 내 판매국가를 늘렸는 소식이 전해졌기 때문으로 풀이된다.
삼천당제약은 지난달 22일 황반변성치료제 아일리아의 바이오시밀러 제품인 SCD411(Vial&PFS)의 유럽 9개국 독점판매권 및 공급계약을 체결했다고 공시했다.
삼천당제약은 지난해 11월 독일과 스페인, 이탈리아, 스위스, 오스트리아 등 유럽 내 5개국 독점판매 및 공급계약을 체결하면서 SCD411의 유럽 내 판매 계약을 성사시켰다.
당시 유럽 10개국은 추후 계약이 되는대로 밝히겠다고 했고, 이날 추가 계약 성사가 공표됐다.
유럽 5개국 관련해 삼천당제약은 계약금과 마일스톤으로 총 280억원을 받기로 했다. 총 이익의 50%를 분기별로 정산받기로 했다.
추가 9개국 관련해서는 일정 조건 충족시 마일스톤을 받기로 했고, 또 총매출의 55%를 수령키로 했다.
이번 공시의 첫 출발은 지난해 11월로 거슬러 올라간다. 삼천당제약은 ‘아일리아 바이오시밀러(SCD411) 바인딩 텀싯’을 공시했다.
당시 공시에 따르면 계약금과 마일스톤 5000만 유로(약 690억원), 판매지역 유럽 15개국이다. 본 계약 체결 예상 시기는 2023년 2월이었다.
하지만 본 계약 체결은 계속 이뤄지지 않았다. 1년 동안 총 6번의 공시를 거쳐 지난해 11월 본 계약 공시가 나왔다.
한편 한국거래소는 삼천당제약에 투자경고종목 지정을 예고한 상황이다.
삼천당제약이 투자경고종목 지정예고를 받은 사유는 ▲지난달 27일의 종가가 5일 전일의 종가보다 60% 이상 상승했기 때문이다.
향후 삼천당제약은 투자경고 지정 예고일로부터 10거래일 안의 특정한 날에 ▲종가가 5일 전날의 종가보다 60% 이상 상승 ▲종가가 당일을 포함한 최근 15일 종가중 가장 높은 가격 ▲5일 전날(T-5)을 기준으로 한 해당종목의 주가상승률이 같은 기간 종합주가지수 상승률의 5배 이상일 경우 투자경고종목으로 지정된다.
한국거래소는 주가가 일정기간 급등하는 등 투자유의가 필요한 종목은 '투자주의종목→투자경고종목→투자위험종목' 단계로 시장경보종목으로 지정한다.
투자경고·위험종목 단계에서 매매거래가 정지될 수 있다.
김준형 빅데이터뉴스 기자 kjh@thebigdata.co.kr
[알림] 본 기사는 투자판단의 참고용이며, 제공된 정보에 의한 투자결과에 대한 법적인 책임을 지지 않습니다.
<저작권자 © 빅데이터뉴스,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