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3일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전일 시간외 매매에서 제룡산업 주가는 종가보다 4.95% 오른 7840원에 거래를 마쳤다. 제룡산업의 시간외 거래량은 37만6247주이다.
이는 국민의힘이 용인 반도체 클러스터 등 산업단지 발전의 기반이 되는 ‘전력망 특별법’을 추진한다는 소식이 전해지면서다.
전일 한 매체는 국민의힘 에너지특별위원회는 이르면 13일 ‘국가 기간 전력망 확충 특별법(전력망 특별법)’을 특위 1호 법안으로 발의한다고 보도했다.
보도에 따르면 법안에는 장거리 송전망 신설 등을 위해 △전력망확충위원회 설치 △인허가 절차 개선 △차별화된 지원 체계 마련 등이 담길 예정이다.
전력망 확충은 정부가 622조 원을 투자하는 용인 반도체 클러스터 발전에 필수적인 기반 산업으로 꼽힌다.
향후 전력 수요 증가에 따른 전력 설비 부족이 예측되고 있다. 산업통상자원부가 지난달 31일 발표한 11차 전력수급기본계획(전기본) 실무안에 따르면 2038년 최대 전력 수요는 129.3GW로, 예비 수요까지 고려하면 2031년부터 2038년까지 10.6GW의 발전설비가 추가적으로 필요하다.
앞서 전력망법은 '국가기간 전력망 확충 특별법'으로 21대 국회 폐회 전날 여야 합의까지 이뤘으나, 결국 본회의를 통과하지 못했다.
지난해 10월 발의된 후 8개월간 국회에 계류만 하다 폐기되고 만 셈이다. 전력망법의 여야 막판 의견 차이는 '민간 투자 허용' 부분에 대한 것이었다.
야권에서 민간 투자가 전력망 민영화로 이어지고 결국 전기요금이 상승할 것이란 우려가 나온데다 특검법 등 다른 법들에 밀려 국회 본회의 통과에 실패했다.
한편 이 소식에 전력기기 관련주들의 주가가 시간외 매매에서 강세를 보였다. 제룡산업은 2011년 제룡전기로부터 인적분할하여 설립된 송전자재, 배전자재, 지중선자재, 통신기자재, 철도자재를 제조 판매하고 있다.
사업부문은 송/배전, 통신 및 철도전차선 금구류의 금속제품부문과 가공 및 지중배전 수지제품의 합성수지제품부문으로 구분된다.
제룡산업의 제품매출 대부분은 주문에 의한 다품종 소량생산 방식으로 생산하여 한국전력공사 등 국내 주요 공공기관과 민수시장에 직/간접적으로 공급하고 있다.
김준형 빅데이터뉴스 기자 kjh@thebigdata.co.kr
[알림] 본 기사는 투자판단의 참고용이며, 제공된 정보에 의한 투자결과에 대한 법적인 책임을 지지 않습니다.
<저작권자 © 빅데이터뉴스,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